• 서브비주얼

빠른상담신청

고객상담센터
02-747-9494
상담시간: AM9:00~PM6:00

노동판례/해석

[행정해석] 노동조합의 조합원 간에 직장내 괴롭힘 해당 여부

[행정해석]
노동조합의 조합원 간에 직장내 괴롭힘 해당 여부

근로기준정책과-774 (2020.2.20.)


[질 의]

□ 노동조합의 조합원 간에 직장내 괴롭힘 해당 여부

[회 시]

□ 근로기준법제76조의3 제1항은 “누구든지 직장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.”라고 규정하고, 제2항은 “사용자는 제1항에 따른 신고를 접수하거나 직장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인지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 확인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.”라고 규정하고 있음.

- 따라서 피해근로자가 사용자에게 직장내 괴롭힘 피해를 신고하였다면 사용자는 동 조항에 따라 관련 조사를 실시할 의무가 있는 것으로, 노동조합 조합원 간에 발생한 일이라고 하여 동 법률의 예외가 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드림.

- 또한 직장내 괴롭힘 금지 제도에서 우위는 지위의 우위뿐만 아니라 관계의 우위도 포함되며, 여기에는 사실상 우위를 점하는 모든 관계가 포함될 수 있음.

예를 들어 개인 대 집단과 같은 수적 측면, 연령・학벌・성별・출신지역・인종 등 인적속성, 근속연수・전문지식 등 업무역량, 노동조합・직장협의회 등 근로자조직 구성원 여부, 감사, 인사부서 등 직장 내 영향력, 정규직 여부 등에 있어 우위성이 인정될 수 있음.

- 구체적 사안에서 행위자가 피해자와의 관계에서 우위성이 있는지는 특정한 요소에 대한 사업장 내 통상적・사회적 평가를 토대로 판단하되, 관계의 우위성은 상대적일 수 있기 때문에 행위자-피해자 간에 이를 달리 평가해야 할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도 함께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드림.

[근로기준정책과-774 (2020.2.20.)]
공유하기
등록자

관리자

등록일
2024-12-11 15:26
조회
171
노동판례/해석
번호제목등록자등록일
28[판례] 정년 도달에 따라 근로관계가 당연종료되었는지 여부는 당연종료 여부가 다투어지는 시점..

관리자

24-12-11
27[판례] 근로자파견관계가 인정되는 근로자가 장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아니하여 권리가 실효되었..

관리자

24-12-11
26[행정해석]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가 육아휴직이 아닌 약정육아휴직을 사용한..

관리자

24-12-11
25[행정해석] 무보수를 약정한 기간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근무한 것인지 여부와 효력

관리자

24-12-11
24[판례] 사용자책임에서 피해자가 피용자의 불법행위가 사무집행행위에 해당하지 않음을 알았거나..

관리자

24-12-16
23[판례] 최초 폐기능검사는 신뢰성이 없어 그 때 장해가 확인되었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를 장해급..

관리자

24-12-16
22[행정해석] '건설산업기본법'에 따라 압류대상에서 제외되는 임금에 상당하는 금액의 범위

관리자

24-12-16
21[행정해석] 정규직(무기계약직) 전환 근로자의 고용주체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

관리자

24-12-16
20[판례] 도급인인 및 그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죄 성립 여부가 문제된 사..

관리자

25-01-20
19[판례] 조합원의 차량 할부금 부담, 자율적인 출퇴근 시간 및 연차제도, 자율적 차량 관리, 기본급..

관리자

25-01-20